활액막염은 관절을 감싸고 있는 활액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활액막은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활액(관절액)을 생성하는 조직으로, 여기에 염증이 발생하면 통증, 부종, 운동 제한 등이 나타납니다.
활액막염은 단독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 감염, 외상, 퇴행성 관절염 등의 영향을 받아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만성 염증으로 진행되어 연골 손상 및 관절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활액막염 증상]
- 관절 부종 : 부종 및 부드러운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음
- 통증 : 움직일 때 통증 악화, 심한 경우 가만히 있어도 아픔
- 운동 제한
- 열감 및 발적
- 관절 마찰음
[활액막염 원인]
- 관절 손상(외상성 활액막염) : 스포츠 부상, 낙상, 반복적 관절 사용 등
- 류마티스 관절염 : 자가면역 반응으로 지속적으로 활액막 염증 발생
- 감염성 활액막염 :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 통풍성 활액막염 : 요산 결정이 관절에 쌓이면서 염증 유발
-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 기타 자가면역 질환 : 루푸스(SLE), 강직성 척추염 등에서 동반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