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통증은 나쁜 자세와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쁜자세와 생활속 나쁜습관들로 인해 목 근육이 과도한 긴장을 하거나 무리하게 되면 근육 및 관절, 신경등을 자격하여 통증이 발생되게 됩니다. 이로인해 질환이 발생되게 되는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추간판탈출증, 후관절증후군, 편타손상, 경부기장 및 염좌 등이 있습니다.
일명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은 척추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시켜주고 완충작용을 하는 역할을 하며, 이 추간판은 가운데 80%의 수분 성분의 수핵과 이 수핵을 보호하기 위해 섬유테들이 주위를 감싸고 있습니다. 이 디스크는 퇴행성(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으로 수핵의 수분함량의 감소로 탄력성이 떨어지거나 평소 자세나, 외상에 의해 디스크가 밀려나 신경근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경추 추간판탈출증이라고 합니다.
경추 디스크 탈출증에 의하여 신경근이 압박을 받으면 기계적, 화학적 자극으로 인해 어깨, 상지, 손가락 등의 신경 지배영역에 방사통 및 저린감을 나타냅니다.
이학적 검사상 경부 운동의 제한을 보일 수 있으며 머리를 뒤로 젖히는 자세에서 어깨 및 상지의 방사통이 증가되는 경우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호발 부위는 경추 5,6번 사이로 어깨의 바깥쪽으로부터 아래팔의 바깥쪽, 엄지와 검지 손가락 쪽으로 전달되는 통증과 감각 이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척수신경을 싸고있는 경막 바깥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염증과 자극을 줄이는 경막외 신경주사를 통하여 증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조금 더 효과적인 완화를 위해 신경성형술(Epidural adhesiolysis) 및 수핵성형술(Nucleoplasty)도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 syndrome
후관절 부위의 퇴행 관절염이나 염좌, 분절 불안정 등에 의해 후관절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이 염증에 의해 자극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후관절은 체중 부하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목이나 허리를 숙이거나 젖힐 때 척추관절을 안정화하고 몸을 비트는 동작을 할 때 과도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작용하는 관절입니다.
경추는 움직임이 많은 구조물로 후방 지지 역할을 하는 후관절의 손상 및 퇴행성 변화는 쉽게 관찰되게 됩니다. 환자는 어깨에 무거운 물건을 지고 있거나 무엇인가 올라타고 있다는 듯한 증상을 호소합니다.
침범되는 부위에 따라 뒷목부터 날개뼈, 어깨 등 다양한 부위에 증상이 나타납니다.후관절을 지배하는 후지 내측지(medial branch) 신경주사를 통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시행됩니다.
[후관절 증후군의 일반적인 증상]
▶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아픈 쪽으로 몸을 회전시킬 때 통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허리가 불편하지만 일어나서 몸을 움직이면 통증이 줄어든다.
▶ 대체로 몸을 뒤로 젖힐 때 불편함을 느낀다.
▶ 급성기의 후관절 통증은 간헐적이고 예측할 수 없으며 1개월 혹은 1년에 몇 번씩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 대부분의 환자들은 염증이 생긴 후관절 부위에 국소적 압통을 호소하며 척추 주변 근육의 긴장을 호소한다.
▶ 경추의 후관절 문제는 어깨나 등 부위 주변에서 방사통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팔이나 손가락으로는 방사통이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경추추간판탈출증과 구분되는 특징이다.
편타손상Whiplash-Associated Disorders, WAD
편타손상은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신체 조직이 손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손상은 주로 사고나 운동 중 발생하며, 뇌, 척추, 근육, 피부 등 다양한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경외과에서는 주로 뇌와 척수에 발생하는 편타손상을 다루는데, 이는 뇌나 척수의 특정 부위에 충격을 받아 조직이 파손되는 현상입니다.
[편타손상의 주요 원인]
- 교통사고나 교통사고 후 충격
- 운동 중 부상(예: 축구, 농구 등)
- 낙상 사고
- 폭발이나 충돌 등 강한 외부 충격
[편타손상의 증상]
- 두통이나 어지러움
- 팔, 다리의 저림, 약화 또는 감각 이상
- 구토나 의식 혼미가 동반될 수 있음
- 움직임에 제한을 느끼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음
- 심한 경우 호흡 곤란 등의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는 증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편타손상의 진단과 치료]
편타손상은 CT나 MRI와 같은 영상 검사를 통해 손상의 정도와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뇌나 척수의 손상을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며, 보통 약물 치료나 물리치료를 시행합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경부긴장 및 염좌
경부긴장의 주요 양상은 목의 통증입니다. 이 통증은 후두 쪽에서 출발해서 어깨와 견관절사이로 방사되며 종종 목이나 어깨의 움직임에 의해 심해지기도 합니다. 두통이 주로 발생하고 정서적 스트레스에 의해서 악화되기도하며, 수면장애가 흔히 발생되고 단순한 업무에도 집중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지속될 경우 우울증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 거북목, 일자목증후군 등과 연관이 되며 바른자세와 스트레칭, 통증치료를 통해 만성통증으로 발전되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